▣ 종사자료 / 배씨사(裵氏史)의 연보(年譜) -③-
~ ② 편에서 계속.....
▶ 서기 1362년(공민 11). 문과(文科 壬寅榜)에서 배중선(裵仲線:본관 미상) 급제하다.
▶ 서기 1369년(공민 18). 문과(文科 己酉榜)에서 배상도(裵尙度:본관 興海), 배중륜(裵仲綸: 본관 星山), 배중유(裵仲有:본관 星山) 등이 급제하다.
▶ 서기 1376년(우왕 2). 11월, 진주도원수 배극렴(裵克廉:본관 星山) 130여척으로 침범한 왜구와 진주에서 격전을 치르다.
▶ 서기 1377년(우왕 3). 문과(文科 丁巳榜)에서 배충(裵衷:본관 미상)급제하다.
▶ 서기 1378년(우왕 4). 8월, 배극렴(裵克廉)을 경상도원수(慶尙都元帥)를 삼았다.
▶ 서기 1380년(우왕 6). 사근내역 전투에서 부원수 배언(裵彦:본관 미상) 전사 하다.
▶ 서기 1382년(우왕 8). 문과(文科 壬戌榜)에서 배을겸(裵乙謙:본관 金海), 배규(裵規:본관 星山) 등이 급제하다.
같은 해: 경산부 사람 배중선(裵仲善:본관 星山)의 딸이 왜적에 쫓겨 소야강에서 순절하다.
같은 해: 고려 말 고승(高僧) 진각국사(眞覺國師:裵千熙) 죽다. ( ? ~1382). 국사는 경북 흥해 국사당(國師堂)에 위패가 봉안 되었다.
▶ 서기 1384년(우왕 10). 배원룡(裵元龍:본관 金海)에게 계림부윤(鷄林府尹)을 제수 하다.
▶ 서기 1386년(우왕 12). 배구(裵矩:본관 星山) 서도안렴사(西道按廉使)를 삼았다.
▶ 서기 1388년(우왕 14). 최영장군의 북벌계획으로 배후(裵厚:본관 미상)를 元나라 진영에 파견하다.
▶ 서기 1390년(공양 2). 양광도 관찰사 배극렴(裵克廉) 회군공신(回軍功臣)에 추록 되었다.
▶ 서기 1392년(태조 1). 7월, 이성계 수창궁에서 즉위하고 조선(朝鮮)을 건국하였다.
같은 해: 7월, 배극렴(裵克廉:본관 星山)을 문하좌시중(門下左侍中)을 제수하였다.
같은 해: 9월, 배극렴(裵克廉)에게 개국공신(開國功臣)1등의 녹권을 내리고 성산백(星山伯)에 봉(封)하였다.
같은 해: 11월, 문하좌시중 배극렴(裵克廉) 병으로 사직하다.
같은 해: 윤12월, 배극렴(裵克廉)죽다. (1325~1392) 시호(諡號)는 정절(貞節)이다.
▶ 서기 1393년(태조 2). 함흥에 환왕(桓王) 정능비를 세우고 개국공신 배극렴(裵克廉)의 공적을 새기다.
같은 해: 이성계의 조선건국에 반대한 고려유신 72현이 두문동에서 참화를 입다. 그 뒤 정조(正祖)때 표절사(表節祠)를 세워 두문동 72현을 기렸다.
같은 해: 문과(文科 癸酉榜)에서 배둔(裵屯:본관 興海) 급제하였다.
▶ 서기 1394년(태조 3). 한양(漢陽)으로 천도하고, 관제를 고쳐 시중을 정승(政丞)으로 하였다.
▶ 서기 1396년(태조 5). 예빈시소경(禮賓寺少卿) 배후(裵厚:본관 미상), 섬라곡국(지금의 태국)에 회례사로 갔다가 돌아오는 도중 나주 앞 바다 해중에서 왜구에게 피납 되어 모두 다 죽다.
▶ 서기 1401년(태종 1). 문과(文科 辛巳榜)에서 배환(裵桓:본관 興海), 배금(裵錦:본관 미상) 등이 급제하다.
▶ 서기 1402년(태종 2). 문과(文科 壬午榜)에서 배한(裵澣:본관 미상) 급제하다.
▶ 서기 1403년(태종 3). 명(明)나라 사신 배정(裴整)이 조서와 예부의 자문을 가지고 조선에오다.
▶ 서기 1408년(태종 8). 태조 이성계(李成桂)죽다. ( ? ~1408)
같은 해: 문과(文科 戊子榜)에서 배소(裵素:본관 興海) 급제하다.
▶ 서기 1411년(태종 11). 문과(文科 辛卯榜)에서 배윤(裵閏:본관 星山), 배추(裵樞:본관 星山), 배남(裵楠:본관 興海) 등이 급제하다.
▶ 서기 1414년(태종 14). 사마과(司馬科 甲午榜), 문과(文科 甲午榜) 양과(兩科)에서 배한 (裵閑:본관 星山) 양과 급제하다.
▶ 서기 1417년(태종 17). 문과(文科 丁酉榜)에서 배약(裵爚:본관 미상) 급제 하다.
▶ 서기 1420년(세종 2). 문과(文科 庚子榜)에서 배인(裵寅:본관 金海) 급제 하다.
▶ 서기 1426년(세종 8). 문과(文科 丙午榜)에서 배강(裵杠:본관 興海) 급제 하다.
▶ 서기 1443년(세종 25). 경기도 연천 숭의전(崇義殿)에 배현경(裵玄慶)등 고려 때 공신 16인(人)을 추배 하다.
같은 해: 성삼문(成三問), 신숙주(申叔舟) 등 훈민정음(訓民正音)을 창제 하다.
▶ 서기 1446년(세종 28). 사마과(司馬科 丙寅榜), 1447년 문과(文科 丁卯榜) 양과(兩科)에 서 배유(裵裕:본관 星山) 양과 급제하다.
▶ 서기 1447년(세종 29). 문과(文科 丁卯榜)에서 배효숭(裵孝崇:본관 興海)급제하다.
같은 해: 사마과(司馬科 丁卯榜)에서 배순명(裵順命:본관 星山)급제하다.
▶ 서기 1451년(문종 1). 김종서(金宗瑞) 등이 <고려사(高麗史)>를 개찬하다.
▶ 서기 1452년(문종 2). 김종서(金宗瑞) 등이 <고려사절요(高麗史節要)>를 편찬하다.
▶서기 1454년(단종 2). 문과(文科 甲戌榜)에서 배윤겸(裵允謙:본관 星山)급제하다.
▶ 서기 1455년(세조 1). 8월, 배유(裵裕:본관 星山)의 고신을 돌려주다.
같은 해: 12월, 행호군 배상문(裵尙文:본관 미상), 호군 배맹달(裵孟達:본관 昆山) 등에게 원종공신 1등을 녹훈 하다.
▶ 서기 1456년(세조 2). 상호군 배담(裵湛:본관 金海) 무경<武經>을 편찬해 올리다.
▶ 서기 1462년(세조 8). 문과(文科 壬午榜)에서 배맹후(裵孟厚:본관 金海) 급제 하다.
▶ 서기 1467년(세조 13). 배맹달(裵孟達:본관 昆山)에게 정충출기적개공신을 책록하고, 서강군(西江君), 곤산군(昆山君)을 봉(封)하다.
▶ 서기 1468년(세조 14). 도화서별제 배연(裵連:본관 미상), 금강산 산도(山圖)를 그려 바쳤고, 1472년에는 소현왕후와 세조, 예종의 어진(御眞)제작에 참여하였다.
▶ 서기 1469년(예종 1). 곤산군(昆山君) 배맹달(裵孟達)죽다. (1411~1469) 시호(諡號)는 양호(襄胡), 곤산배씨 시조(昆山裵氏始祖)이다. 훗날 수작사(壽爵祠)에 배향되었다.
▶ 서기 1471년(성종 2). 무과(武科 辛卯榜)에서 배찬(裵燦:본관 미상)급제하다.
▶ 서기 1476년(성종 7). 안동권씨(安東權氏) 성화보(成和譜)가 출간 되었다. 성화보는 우리나라 족보사(族譜史) 의 효시로 이 후 조선에서는 족보운동이 활성화 되었다.
[참고]: 이 무렵 이후, 우리 배씨(裵姓)도 각 본관(本貫)별, 각 씨족(氏族)별로 가승(家乘) 또는 가첩(家牒), 세보(世譜) 등 세계(世系)를 기록한 신적(信蹟)이 유통 되었다.
▶ 서기 1483년(성종 14). 사마과(司馬科 癸卯榜), 1513년 문과(文科 癸酉榜) 양과(兩科)에서 배수동(裵壽仝:본관 星山)양과 급제.
▶ 서기 1490년(성종 21). 삼별초장군 배중손(裵仲孫:본관 미상)에게 직첩을 돌려주었다.
▶ 서기 1492년(성종 23). 문과(文科 壬子榜)에서 배익신(裵益臣:본관 大丘) 장원급제 하다.
▶ 서기 1496년(연산 2). 사마과(司馬科 丙辰榜)에서 배이장(裵以張:본관 星山), 배수공(裵秀恭:본관 大丘) 급제하다.
▶ 서기 1507년(중종 2). 문과(文科 丁卯榜)에서 배세적(裵世績:본관 金海) 급제하다.
같은 해: 사마과(司馬科 丁卯榜)에서 배덕유(裵德裕:본관 大丘) 급제하다. <계속>
제공: [성산배씨대종회]카페 http://cafe.daum.net/seungsanbae
'뮌네하우스(2003- ) > 뮌네 하우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▣ 종사자료 / 배씨사(裵氏史)의 연보(年譜) -①- (0) | 2013.08.30 |
---|---|
[스크랩] ▣ 종사자료 / 배씨사(裵氏史)의 연보(年譜) -②- (0) | 2013.08.30 |
[스크랩] [경북 칠곡]경주배씨 시조 배현경(裵玄慶) 묘소 (0) | 2013.08.30 |
8/2-3 속초 여행 (0) | 2013.08.05 |
D-30days (0) | 2013.07.31 |
댓글